본문 바로가기
치과상식

사랑니 통증, 꼭 발치 해야 할까?

by 쏭이88 2023. 10. 18.
728x90
반응형

있는지 없는지 모르다가 갑자기 퉁퉁 붓고 아파와 존재감을 깨닫고 나서야 치과에 가게 되는 사랑니, 과연 뽑는 것이 좋을까요? 그냥 놔두는 것이 좋을까요? 정답은 '상태에 따라 다르다'입니다. 사랑니의 진짜 명칭은 제3대 구치이며, 사랑을 하는 감정과 비슷하다 하여 사랑니라고 이름 붙여졌다고 합니다. 이름이 붙여진 유래는 낭만적이나 실제적으로 통증이 생기거나 발치를 하게 되면 겪는 고통은 낭만적이지 않습니다. 

사랑니란?

얼굴의 정중선을 중심으로 제일 첫 번째 앞니부터 8번째 자리에 나게 되는 어금니를 사랑니라고 합니다. 사랑니는 영구치에만 존재하며 청소년기 다른 영구치가 다 맹출을 하고 나서도 한참 뒤인 20대 때 맹출하기도 합니다. 사람에 따라 노년기에 맹출 하는 경우도 있어 맹출시기가 따로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닙니다. 현대에는 인간의 턱뼈가 작아지면서 사랑니의 공간이 사라져 선천적으로 사랑니가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사랑니는 최대 4개까지 있는데, 아예 없는 경우도 있고 1개~3개만 있을 수도 있습니다. 간혹 7번째 어금니가 사랑니라고 알고 있는 경우도 있고, 사랑니가 있는데도 어금니라고 착각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형태적 특징

앞니나 일반 어금니 같은 경우 특정적인 형태상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사랑니는 사람마다 형태가 다르며 뿌리 또한 제각각입니다. 사랑니가 어금니처럼 크고 둥근 형태인 경우도 있고, 새끼손톱처럼 작은 경우도 있습니다. 뿌리는 어금니처럼 여러 개가 갈라진 형태이기도 하고 하나로 크게 뭉쳐져 있기도 합니다. 또한 일반 치아처럼 세로로 곧게 나는 경우도 있지만 90도 각도로 기울어져 누워있는 형태로 잇몸 속에 파묻혀 있기도 합니다. 

통증

사랑니는 가장 뒤쪽에 있는지도 모를 정도로 깊게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칫솔질을 소홀히 하기 쉽습니다. 따라서 관리하기 어려운 치아이며 충치가 잘 생기기도 하는 치아입니다. 구강관리를 소홀히 하다 어느 날 어금니에 통증이 생겨 치과를 찾으면 사랑니에 충치가 심하게 생겨있거나 잇몸에 염증이 생겨있기도 합니다. 컨디션이 안 좋을 때 잇몸이 부으면서 사랑니 뒤쪽에 있는 잇몸이 윗니와 충돌하여 통증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사랑니에 이상이 없는데 아픈 경우는 사랑니가 누워있어 맹출방향이 잘못되어 아픈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사랑니가 위쪽으로 맹출이 되어야 하는데 옆치아를 밀면서 맹출 하려고 해서 그런 경우입니다. 

치료법

충치, 염증치료

사랑니에 통증이 있는 경우 통증의 원인을 확인한 후 그에 맞는 치료를 해야 합니다. 충치가 있는 경우, 그 크기에 따라 간단히 때우는 레진, 본떠서 서 붙이는 인레이와 크라운 치료가 가능하며 신경치료까지 가능합니다. 

발치치료

충치와 염증이 너무 심해 사랑니를 살리기 어렵거나 맹출방향이 잘못되었을 경우 사랑니를 발치합니다. 사랑니 발치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합니다. 첫 번째로 간단 발치는 비교적 손쉽게 발치가 되는 것을 말합니다. 사랑니의 주변 잇몸에 부분 마취를 한 후 발치 기구를 이용하여 사랑니를 발치합니다. 간단 발치의 경우 치료 시간이 짧고 약간의 통증과 출혈이 발생하며 회복기간이 짧은 편입니다. 두 번째로 외과적 발치는 수술을 하듯이 발치를 하는 것을 말하며, 필요시 치아 분리술과 골 삭제술이 병행되는 치료입니다. 사랑니가 잇몸에 묻혀있거나 90도로 누워있을 때 시행하게 됩니다. 마취는 하치조신경 또는 후상치조신경을 통해 깊게 진행하며 잇몸을 절개하고 치아 분리술과 골삭제술로 치아가 나올 수 있게 처치를 한 후 발치를 진행합니다. 치료시간이 긴 편이며 출혈이나 통증이 심한 편입니다. 절개한 잇몸을 수술용 실을 이용하여 봉합할 경우 일주일정도 후에 내원하여 실밥을 제거해야 합니다. 체질에 따라 얼굴이 크게 부을 수 있으며, 간혹 턱이 아프거나 감각이상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여 회복기간이 간단 발치에 비해 긴 편입니다. 

주의사항

사랑니를 발치한 직후에는 지혈을 위해 거즈를 발치한 자리에 놓고 약 2시간 정도 꽉 물고 있어야 합니다. 2시간이 지난 후에도 다음날까지 출혈이 약간씩은 있으므로 지혈을 방해하는 운동과 사우나는 피해야 합니다. 흡연 또한 지혈과 발치부위 치유에 방해를 주므로 당분간 하지 않아야 합니다. 식사는 3-4시간 정도 지난 후 마취가 완전히 풀린 후에 해야 하며 맵고 뜨거운 음식은 안 먹는 것이 좋습니다. 발치부위가 완전히 아물려면 1주일-2주일 정도 소요되는데 그 기간 동안 감염의 우려가 있으므로 발치부위에 음식물이 끼지 않도록 입안을 깨끗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칫솔로 발치부위를 닦는 것이 아니고 가글을 이용해 발치부위에 음식물이 끼지 안도록 해야 합니다. 발치부위를 혀나 손으로 자극하는 경우 또한 염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음주 또한 염증을 악화시키므로 피해야 하며 치과에서 처방해 준 진통, 소염, 항생제를 꾸준히 복용해주어야 합니다.

 

반응형